테크빅

핵심과 정보를 전하는 IT 전문 크리에이터

IT

치지직 광고차단 그리드 설치 우회 방법과 이유

Khy0 2024. 6. 21. 18:48
반응형

치지직 광고차단 그리드 설치 우회 방법과 이유

그리드란 무엇인가?

그리드는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특정 지역 또는 사용자에게만 특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저작권 및 라이선스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DRM(디지털콘텐츠 저작권보호 관리기술)과 같은 역할로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서는 사용자에게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살펴보니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불리한 점이 많았습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트리밍 사이트인 '트위치' 에서 망사용료로 인해 한국 트위치 사업을 철수하면서 망사용료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지만 큰 해결방안을 찾지 못했는데요. 이해관계나 복합적인 문제로 ISP(통신사)에서도 입장을 고수했기에 더욱 국내에서 스트리밍 사업에 대한 부분은 어느 기업에서든 큰 걸림돌로 보입니다.

트위치의 한국 사업철수를 이어받아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 '치지직'에서는 그리드(Grid)는 사용자의 PC를 스트리밍 서비스의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DN)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는 서버 부담을 줄이고, 다수의 시청자에게 고화질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전달한다는 명목으로 사용자들에게 고화질 시청 시 그리드 설치가 필수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리드를 설치하는 이유와 문제점

그리드를 설치하는 이유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그리드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망 사용료 절감
    그리드를 통해 사용자 PC의 네트워크 공유로 콘텐츠 전달 망 사용료 감소 (P2P 개념)
  • 서비스 품질 유지
    그리드 기술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고화질 콘텐츠 전달
  • 수익성 보존
    사용자PC의 리소스를 활용함으로 서버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플랫폼의 수익성 보존

하지만, 그리드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 보안 문제
    사용자 PC가 방송 스트리밍 그리드 노드로 사용되면 네트워크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 과도한 네트워크 사용량
    그리드 사용으로 인해 사용자 네트워크의 대역폭 소모 및 데이터 한도 소모
    (대부분의 ISP는 개인 사용자에게 일일 150GB 데이터 허용량을 제공하고 있고, 이를 초과하면 속도 제한이 걸리기 때문.)
  • 그리드 네트워크 사용량 자가테스트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그리드가 없는 경우
    : 초당 네트워크 사용량 8~15MB 

    2) 그리그 설치된 경우 : 초당 네트워크 사용량 12~25MB
    *그리드 설치 후 스트리밍 시청 시 약 1.5배 트래픽량이 늘어난 것을 확인함.
  • 시청자 부담 전가
    사용자의 리소스 자원 이용

그리드 우회 방법

치지직의 치트키 정기결제 화면, 가격 표시

다양한 문제로 인해 사용자들의 그리드 우회방법이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퍼지고 있는 상황이고, 우회프로그램까지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아프리카 TV의 경우 광고제거 기능을 '퀵뷰' 5,500원에 판매하고 있기에 치지직에서 제시하고 있는 광고제거 기능 상품인 '치트키' 14,300원을 상대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광고제거 상품은 광고만 제거될 뿐 그리드에서 해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에게 그리드를 반강제하여 사용함에도 2배 이상의 가격을 제시하고 있기에 다수의 이용자들이 더 납득하기 어렵고, 스트리머를 지원하는 시청자 입장에서도 팔로워가 적은 스트리머 또는 신입스트리머에게는 광고수익 분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해당 플랫폼사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영하는 플랫폼에서는 망사용료를 줄이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사용해 오고 상황입니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ISP(통신사)의 망사용료 산정 방식과 통신 정책 등 여러 당사자들의 이해관계에 얽혀있는 여러 문제들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브라우저 대상 경로 수정 (User Agent)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브라우저의 콘솔을 들어가 보면 사용자 PC의 네트워크 브라우저 정보와 Agent 즉 PC정보를 수집하고 있는데, 이 브라우저 커맨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에이전트를 변경하면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다른 환경에서 접속한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습니다. Mac과 같은 보안성이 높은 Agent에서는 별도의 강제 그리드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입니다.

(크롬, 엣지, 웨일 등) 브라우저 바로가기를 생성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대상' 필드에 내용 뒤에 그대로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추가할 코드

 --user-agent="Mozilla/5.0 (Macintosh; Intel Mac OS X 10_14_6)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25.0.0.0 Safari/537.36"

*최종 변경된 코드 (ex. 크롬) - 기본경로

"C:\Program Files (x86)\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user-agent="Mozilla/5.0 (Macintosh; Intel Mac OS X 10_14_6)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25.0.0.0 Safari/537.36"

크롬 브라우저 바로가기 설정

'적용'을 클릭하고 브라우저를 재시작합니다.

브라우저의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웹 서버에 브라우저의 종류와 버전 사용자 PC의 운영체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데. 위의 커맨드를 추가하면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설정한 것처럼 특정 에이전트 정보를 보내게 되어 스트리밍 사이트는 다른 브라우저나 운영체제에서 접속한 것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설치 요청을 회피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사용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를 차단하거나 브라우저 애드블록 설정을 지원하는 브라우저에서는 사용자 에이전트를 변경하면 스트리밍 사이트의 광고나 제한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확장 프로그램 설정에서 중간 광고를 차단하도록 설정합니다. 브라우저 네트워크 콘솔에 접근하여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입력합니다. 또는 브라우저 자체 애드블록 기능을 활용해도 됩니다.

var s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src = '해당광고주소'; document.head.appendChild(s);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요청을 가로채서 광고 요청을 차단하거나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위의 스크립트는 외부 광고 차단 스크립트를 브라우저에 삽입하여 광고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중간 광고를 차단하고 스트리밍 사이트의 그리드 설치를 우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사용자가 대부분 직접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에 '확장프로그램'을 활용하는데요. 다양한 확장프로그램이 있고 실제 차단이 가능합니다. 원리는 위와 비슷하지만 기능을 추가한 확장프로그램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 포스팅(확장프로그램의 어두운 이면)에서 언급한 것처럼 확장프로그램은 양날의 검과 같다는 점을 잊지말고, 만약 사용하셔야 한다면 이 점을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스트리밍 광고 차단 및 우회 확장프로그램 스토어 검색화면

다른 우회 방법

VPN / DNS

VPN이나 DNS 서버 설정 변경을 통해 IP 주소를 변경하여 그리드를 우회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트위치와 같이 특정 위치나 국가 IP 대역으로 서비스 품질을 허용 설정한 경우 VPN으로 우회하여 고화질 시청이 가능합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

방법 장점 단점
브라우저 커맨드 입력 간단한 설정, 무료 제한된 효과, 지속적 관리 필요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간편한 사용, 빠른 설정 제한된 국가 선택, 보안성 낮음
VPN 사용 높은 보안성, 다양한 국가 선택 가능 유료 서비스 필요, 속도 저하 가능성
DNS 변경 간단한 설정, 일부 무료 서비스 제한된 효과, 보안성 낮음

 


결론

결론적으로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그리드를 설치하는 주요 이유DRM(디지털저작권), 망 사용료 절감, 서비스 품질 유지, 그리고 수익성 보존입니다. '트위치'와 같은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한국에서 사업을 철수했기에 기업 입장에서는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방안이었다고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리드 적용은 사용자에게 여러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죠. 특히 보안 문제과도한 네트워크 사용량으로 인해 ISP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허용량을 빠르게 초과하게 되어 속도 제한(QoS)이 쉽게 될 수 있다는 점과 이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기에 그리드를 우회하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드 우회 방법에는 브라우저 커맨드 입력,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사용, VPN 및 DNS 변경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우회 방법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쾌적함을 느껴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스트리밍 사업 운영과 스트리머의 광고수입이 어려워지는 점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하게 된다면 신중함이 필요하며, 특히 보안 문제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확장 프로그램의 경우 잘못 사용할 경우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결국, 스트리밍 플랫폼과 사용자가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해 보이는데요. 스트리밍 플랫폼사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플랫폼이 지속 가능하게 운영될 수 있는 방안과 상생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